티스토리 뷰
백계 러시아인들을 다룬 출판물
1. 논문: "식민지 조선의 백계 러시아인 사회"
저자: 김영식
발행처: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발행일: 2013년 2월
내용: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조선에 형성된 백계 러시아인 사회의 형성과 생활상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원산 수용소에서의 임시 생활, '노비나(Новина)' 공동체, 경성의 백계 러시아인 사회 등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포함.
2. 서적: 《시베리아의 향수: 근대 한국과 러시아 문학, 1896-1946》
저자: 김진영
발행처: 이숲
발행일: 2017년
내용: 이 책은 1896년부터 1946년까지 근대 한국과 러시아 문학의 상호 교류와 수용 과정을 다루고 있다. 특히 식민지 조선에서 러시아 문학이 어떻게 번역되고 읽혔는지, 그리고 러시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추적.
3. 잡지: "백조"
발행인: 1호 - 아펜젤러(미국인 선교사), 2호 - 보이스 부인(미국인 선교사), 3호 - 훼루훼로(망명한 백계 러시아인)
내용: 1920년대에 발행된 문예 동인지로, 3호의 발행인으로 백계 러시아인인 훼루훼로가 참여. 이는 당시 조선에서 활동하던 백계 러시아인의 문화적 기여를 보여주는 사례다.
4. 서적 : 《러시아 내전 ; 혁명 그 이후 1917-1921》
저자 : 앤터니 비버
출판사 : 눌와
내용 : 1917년 제정 러시아가 무너지고 혁명이 일어나 시작된 내전. 발트해에서 시베리아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전역에서 적군과 백군이 충돌하게 된다. 1912년부터 ~ 1921년까지 복잡하게 전개된 내전의 내용을 다룬다. 광활한 러시아 영토의 철길과 강을 따라 전개된 내전은 서로를 잔혹하게 처형했고, 원래 박해를 받았던 유대인들이 또 한 번 피해자가 되었다. 또한 내전으로 동유럽의 여러나라들이 독립하게 됨으로써 러시아 내전은 단지 러시아 내부만이 아닌 국제전이기도 했다.
'ㄴ읽기책 수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키아게샤(조선 등 식민지에서 일본으로 귀환한 사람들) 문학 2권 (0) | 2025.02.13 |
---|
- Total
- Today
- Yesterday
- 한민족디아스포라
- 이주역사
- 차별
- 환경의영향
- 재일한국인
- 해외동포현황
- 러시아
- 고려인역사
- 디아스포라
- 적백내전
- 사할린동포
- 백계러시아인
- 러시아내전망명자
- 최선을다하는것
- 한민족
- 사할린
- 알림장작성
- 다각적관점
- 쿠바한인후손
- 재일코리안
- 조선의백계러시아인
- 재일동포
- 해방후일본으로돌아간일본인
- 독서방법
- 다름인정
- 해외동포정책
- 만0세놀이
- 사태해결
- 히키아게샤
- 러시아외교관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