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나의 읽기 생활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나의 읽기 생활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7)
    • ㄴ오늘의 읽기 (14)
    • ㄴ읽기책 수집 (2)
    • ㄴ읽기책 주석 (9)
  • 방명록

ㄴ읽기책 주석 (9)
쿠바 한인 후손

한국-쿠바 수교우리나라와 쿠바는 2024.2.14(수) 미국 뉴욕에서 양국 주유엔대표부 간 외교 공한 교환을 통해 양국간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하였다. ※ 쿠바는 우리나라의 193번째 수교국이며, 유엔 회원국 중 남은 미수교국은 1개국(시리아)중남미 카리브 지역 국가 중 유일한 미수교국인 쿠바와의 외교관계 수립은 우리의 대중남미 외교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서,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우리의 외교지평을 더욱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출처 외교부)코레아노의 꿈, 쿠바 이민 100주년 '쿠바의 한인들'(출처 : 경향신문, 2021.02.22)쿠바는 오랫동안 북한과 우호관계를 유지해 온 국가로, 미국의 경제재제를 받아왔습니다. 한국과의 수교는 쿠바가 점진적으로 국제사회와 협력하는 신호로 해..

ㄴ읽기책 주석 2025. 2. 23. 13:46
고려인 디아스포라

고려인(고려인 디아스포라)1. 고려인의 정의고려인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한반도에서 러시아(구 소련) 지역으로 이주한 한민족을 가리킨다. 특히 1937년 스탈린 정권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한인들을 의미하며, 현재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등지에 거주하는 한국계 주민들을 포함한다.2. 고려인의 역사적 배경1) 초기 이주 (1860년대~1910년대)조선 말기, 빈곤과 정치적 혼란을 피해 연해주(현재 러시아 극동 지역)로 이주.러시아 정부는 한인들에게 농업 활동을 허용하며 정착 지원.2) 일제강점기 (1910~1930년대)1910년 일제강점 이후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됨.연해주 지역에서 대한독립군, 신한촌 등이 활동하며항일운동 전개.3) 강제 이주 (1937년)스탈린 정..

ㄴ읽기책 주석 2025. 2. 23. 13:05
사할린동포와 재일동포 공통점, 차이점

사할린동포와 재일동포핵심 차이점1. 이주 배경: 사할린동포는 노동력 강제 동원 중심, 재일동포는 강제징용뿐만 아니라 경제적·교육적 이주도 포함됨.2. 귀환 문제: 사할린동포는 소련 점령으로 오랫동안 귀국 불가,재일동포는 일부 귀환했으나 일본에 남은 인구가 많음.3. 국적 및 법적 지위: 사할린동포는 무국적 상태에서 러시아 국적 취득이 많았고, 재일동포는 일본에서 조선적·한국적·일본적 등 다양한 신분을 가짐.공통점일제강점기의 역사적 영향으로 인해 해외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해방 후에도 국적 문제와 차별 속에서 어려움을 겪음.한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귀환 지원을 받기도 하지만, 후손들은 해당 국가에서 계속 거주하는 경우가 많음.이러한 점에서 사할린동포와 재일동포는 각기 다른 역사적 경로를 거쳤지만, 공통적으..

ㄴ읽기책 주석 2025. 2. 23. 12:41
사할린 동포

사할린동포는 러시아 사할린 섬에 거주하는한국계 주민을 가리킵니다. 이들은 주로 일제강점기(1930~1945년) 동안 강제 동원, 경제적 이유로 사할린으로 이주한 조선인들의 후손입니다.사할린동포의 역사1.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1930~1945년)일본은 사할린에서 탄광·벌목·철도 건설 등의 노동력으로 조선인을 대거 동원했습니다.약 4만~4만5천 명이 사할린으로 이주했으며, 해방 이후 일본 정부가 이들의 귀국을 방해하면서사할린에 남게 됨.2. 소련 통치기 (1945~1991년)1945년 8월, 소련군이 사할린을 점령하며 일본인들은 본국으로 송환되었지만, 조선인은 남겨짐.냉전으로 인해 남북한과의 교류가 단절되면서 무국적자로 오랜 기간 차별받음.3.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 (1980년대~현재)1989년부터 한국 ..

ㄴ읽기책 주석 2025. 2. 23. 09:55
재일동포(在日同胞)

재일동포에 대해 들어 보셨나요?한때는 이 땅에서 우리들의 선조들과 혹은 같은 고향에서 살았을 그들이 여러가지 개인적인 사유로 일본에 정착을 하게 되었지요.사람들의 의식이 많이 바뀌었어도 그들에 대한 가장 안타까운 인식은, '그런데 왜 한국말을 잘 못하느냐'라는 거죠.일본말을 써야하는 환경이라면한국어가 미숙해지는 것은 당연한데유독 재일동포들에게는 언어에 대해 엄격해지는한국인들을 볼 수 있었어요.미국에도, 중앙아시아 등등 한국어를 이제는 잘하지 못하는 동포들이 많은데도요.그러면 한국에서는 일본인, 일본에서는 한국인어느 곳에도 속할 수 없는 경계인,이방인이란 생각이 자연스레 따라오죠.. 주변에 다양한 다문화가정을 볼 수 있는데요.그중에는 중국ㆍ사할린, 고려인 동포들 가정도 있더라구요. 한국말 못하는 분들도 꽤..

ㄴ읽기책 주석 2025. 2. 23. 08:46
2025년 대한민국 해외동포 현황 및 동포 정책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재외동포는 전 세계 181개국에 약 708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는 2020년 말 기준 732만 명에서 약 3.3% 감소한 수치다. 재외동포는 크게 재외국민과 외국국적 동포로 구분되며, 2023년 기준으로 재외국민은 약 246만 7,969명, 외국국적 동포는 약 461만 3,541명으로 파악된다. 지역별로는 동북아시아, 북미, 유럽 지역에 전체 재외동포의 90%가 집중되어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 내 재외동포 수 감소로 인해 약 8.12%의 감소율을 보였다. 유럽 지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약 3.38% 감소하였다. 한편, 국내에는 약 86만 명의 귀환 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재외동포청은 이들을 포함한 전 세계 한민족 공동체의 역량 강화를..

ㄴ읽기책 주석 2025. 2. 20. 23:09
중국으로 망명한 백계 러시아인

중국으로 망명한 백계 러시아인(Белая эмиграция, White émigrés)은 1917년 러시아 혁명과 그 후 이어진 내전(1917~1922)에서 볼셰비키(붉은 군대)에게 패배한 후 중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로 흩어진 사람들입니다. 이들 중 상당수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중국의 하얼빈, 상하이, 톈진, 베이징 등지에서정착했습니다.1. 주요 정착지와 생활하얼빈(Harbin)러시아 극동 철도 건설: 원래 러시아 제국이 건설한 중국 동청철도(Китайско-Восточная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KVZhD)와 관련해 이미 러시아계 인구가 많았고, 백계 러시아인의 대규모 유입으로 "러시아 도시" 같은 분위기를 형성함.사회·문화 생활: 러시아식 학교, 교회, 신문, 극장 등이 존재했으며,..

ㄴ읽기책 주석 2025. 2. 17. 23:29
백계 망명 러시아인의 조선 이주

백계 러시아인(Белые эмигранты, White émigrés)이 조선에 정착한 인구에 대한 정확한 공식 통계는 부족하지만, 여러 자료를 종합하면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수백 명에서 많게는 1,000여 명 정도가 한반도에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백계 러시아인의 조선 이주 배경1. 러시아 혁명(1917)과 내전(1917~1922) 이후 이주볼셰비키 정권을 피해 러시아를 떠난 백계 러시아인들이 만주, 중국, 일본으로 이동일부가 조선(특히 북부 지역과 항구 도시)로 유입2. 일본의 대러 정책과 백계 러시아인 활용일본이 반공 정책의 일환으로 백계 러시아인들을 만주국과 조선으로 유입일부는 일본군이나 행정 기관에서 통역·기술직으로 활동3. 조선 내 거주 지역함경북도(나진, 웅기, 청진 등): 소련..

ㄴ읽기책 주석 2025. 2. 16. 15:17
히키아게샤(引揚者)

**히키아게샤(引揚者, 히키아게모노)**는 일본 제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한 후, 일본 본토 밖(조선, 만주, 대만, 사할린, 남양군도 등)에서 살다가 일본으로 귀환한 일본인들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배경과 역사패전 이전: 일본 제국은 1930~40년대 식민지와 점령지로 대거 이주 정책을 펼쳤고, 많은 일본인이 조선, 만주, 대만 등에서 농업, 군수산업, 행정관료 등의 역할을 맡으며 정착했습니다.패전 이후(1945년~1950년대 초): 일본이 전쟁에서 패배하면서 해외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은 갑작스러운 철수를 맞이했습니다. 특히 조선과 만주에서는 소련군과 중국 공산당의 점령, 한국의 독립으로 인해 일본인들의 안전이 위협받았고, 이들은 급히 일본으로 귀환해야 했습니다.귀환 과정: 일본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ㄴ읽기책 주석 2025. 2. 13. 03:12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다각적관점
  • 해외동포정책
  • 적백내전
  • 재일한국인
  • 해외동포현황
  • 환경의영향
  • 알림장작성
  • 고려인역사
  • 최선을다하는것
  • 러시아외교관계
  • 한민족디아스포라
  • 재일코리안
  • 히키아게샤
  • 러시아
  • 만0세놀이
  • 조선의백계러시아인
  • 한민족
  • 사할린동포
  • 사할린
  • 쿠바한인후손
  • 디아스포라
  • 이주역사
  • 러시아내전망명자
  • 백계러시아인
  • 차별
  • 해방후일본으로돌아간일본인
  • 재일동포
  • 다름인정
  • 사태해결
  • 독서방법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