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백계 러시아인(Белые эмигранты, White émigrés)이 조선에 정착한 인구에 대한 정확한 공식 통계는 부족하지만, 여러 자료를 종합하면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수백 명에서 많게는 1,000여 명 정도가 한반도에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계 러시아인의 조선 이주 배경




1. 러시아 혁명(1917)과 내전(1917~1922) 이후 이주



볼셰비키 정권을 피해

러시아를 떠난 백계 러시아인들이

만주, 중국, 일본으로 이동

일부가 조선(특히 북부 지역과 항구 도시)로 유입

하얼빈 거리의 러시아인들 (출처 https://m.blog.naver.com/maenam111/90195222224)




2. 일본의 대러 정책과 백계 러시아인 활용



일본이 반공 정책의 일환으로

백계 러시아인들을 만주국과 조선으로 유입

일부는 일본군이나 행정 기관에서

통역·기술직으로 활동





3. 조선 내 거주 지역


함경북도(나진, 웅기, 청진 등): 소련과 가까운 항구 지역으로 러시아계 상인 및 노동자 정착

경성(서울): 백계 러시아인 중 일부는 식당 운영,
외국인 거주지(명동, 이태원 등)에 정착

부산, 인천: 항구 도시에서 무역업, 서비스업 종사




4. 백계 러시아인의 생활


직업: 군인, 상인, 통역사, 기술자, 예술가(음악·발레 등)

문화적 영향: 러시아풍 레스토랑, 서양식 의류 문화 확산

종교: 정교회 신앙을 유지하며 소규모 공동체 형성




5. 해방 이후


1945년 이후 소련군이 북한을 점령하면서

백계 러시아인 상당수가 소련으로 강제 송환

일부는 남한이나 일본으로 이동,

한국전쟁 이후 대부분 조선을 떠남








백계 러시아인이

조선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지만,

이들의 존재는

한반도의 국제적 환경과 이주 역사의

한 부분으로 주목할 만하다.

'ㄴ읽기책 주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할린 동포  (0) 2025.02.23
재일동포(在日同胞)  (2) 2025.02.23
2025년 대한민국 해외동포 현황 및 동포 정책  (0) 2025.02.20
중국으로 망명한 백계 러시아인  (1) 2025.02.17
히키아게샤(引揚者)  (0) 2025.02.13